본문 바로가기

보험 의료 정보

암보험 진단명 기준 | 보험금 지급을 위한 암 진단 기준 정리

반응형

암보험 진단명 기준 | 보험금 지급을 위한 암 진단 기준 정리

암보험은 암 진단 시 진단금을 일시금으로 보장해주는 중요한 보장성 보험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보험금을 청구하려 할 때, 암 진단의 정의와 기준이 약관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험금이 지급되지 않는 사례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암보험에서 인정되는 진단명 기준과 주요 구분, 보험금 지급 조건을 정리해 안내합니다.


1. 암보험에서 인정하는 진단 기준은?

보험사들은 일반적으로 병리학적 확진(Biopsy 또는 병리진단)을 기준으로 암 진단을 인정합니다.

  • 조직검사 또는 세포검사(Cytology) 결과에 따라 악성 종양으로 확정된 경우
  • CT, MRI 등의 영상검사만으로는 진단 확정이 어려움 → 병리보고서 필요

2. 주요 암 진단 코드 (ICD 기준)

구분 진단 코드 설명
악성 신생물 (암) C00~C97 실질적 암 진단 및 진단금 지급 대상
제자리암 D00~D09 조기 단계 암, 일부 보험은 ‘소액’ 진단금 지급
경계성 종양 D37~D48 조직상 암이 아닌 상태, 대부분 보험금 지급 제외

⚠️ 주의사항

  • 동일 ‘암’이더라도 코드가 C00~C97이면 정식 암으로 인정, D코드는 조건부 또는 제외될 수 있음

3. 제자리암, 경계성종양 구분 정리

  • 제자리암(D05 등): 암세포가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지 않은 조기 단계 → 일반암보다 진단금 적음
  • 경계성 종양(D40 등): 양성도 악성도 아닌 경계 상태로 암으로 보지 않음
  • 일부 보험사는 제자리암, 경계성 종양 진단 시 특약 형태로 소액 지급하거나 지급 제외

4. 암보험 청구 전 확인할 사항

✅ 진단서 상의 진단 코드(ICD 코드) 확인
✅ 병리조직검사 결과 첨부 여부 확인
✅ 약관상 ‘일반암 vs 소액암(제자리암)’ 구분 명시 여부
✅ 동일 장기 내 재진단 시 동일 암으로 간주되는 기간(보통 2년)


5. 암보험 지급 제외 사례

  • 조직검사 없이 영상검사만으로 추정 진단 → 지급 거절
  • D 코드로 확진된 경계성 종양 진단 → 일반암 보험금 지급 거절
  • 진단명은 암이나, 병리보고서 없이 단순 의무기록만 있는 경우

요약: 암보험 진단명 기준 핵심 정리

✅ 암보험 보험금 지급은 병리학적 진단(C코드)이 핵심 기준
✅ D코드(제자리암, 경계성 종양)는 보험사 약관별 보장 조건 다름
✅ 보험 청구 전 반드시 진단명, 코드, 병리소견서를 확인해야 함
✅ 약관에 따라 동일 장기의 암은 재진단 간주 가능성도 존재


암보험은 진단만 되면 무조건 지급된다는 인식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보험 약관 내 정의된 '암'의 기준과 진단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해야, 불이익 없이 보험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진단비 보험금 수령조건’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